맨위로가기

김반 (1580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반은 김장생의 셋째 아들로, 송익필에게 학문을 배우고 1605년 사마시에 합격하여 관직에 나아갔다. 광해군의 정치에 반대하여 사퇴했다가 인조반정 이후 관직에 복귀했으나 이괄의 난을 겪고 인조를 호종한 공으로 문과에 급제했다. 이후 형조, 사간원, 이조 등 요직을 두루 거쳤으며,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으로 인조를 호종하고 아들을 잃는 슬픔을 겪었다. 정축하성 이후 예조 참판 등을 지냈으며, 1639년 관직에서 물러난 후 대광보국숭록대부에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40년 사망 - 아이신기오로 아민
    누르하치의 조카인 아이신기오로 아민은 청나라 초기의 장군이자 호쇼이 버일러로, 사대 버일러로서 국정을 담당하고 정묘호란을 주도했으나 영평 점령 실패의 책임을 지고 유폐되어 사망했다.
  • 1640년 사망 - 페테르 파울 루벤스
    페테르 파울 루벤스는 플랑드르의 바로크 미술 거장으로, 종교화, 역사화, 초상화, 풍경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역동적이고 풍부한 색채의 작품을 남겼으며, 특히 풍만한 여성의 육체 묘사로 유명하고 외교관으로도 활동했다.
  • 1580년 출생 - 프란시스코 데 케베도
    프란시스코 데 케베도는 17세기 스페인의 시인이자 소설가, 정치가로서, 풍자와 해학이 넘치는 작품과 궁정 생활로 유명하지만, 반유대주의적 시각으로 비판받기도 하는 인물이다.
  • 1580년 출생 - 프란스 할스
    프란스 할스는 네덜란드 황금시대의 초상화가로서, 생동감 넘치는 인물 표현과 자유로운 붓놀림, 그리고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을 개성적으로 묘사한 집단 초상화로 유명하며, 후대 인상주의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 병자호란 관련자 - 윤증
    윤증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소론의 영수로 우의정까지 역임한 정치가였으며, 성리학적·정치적 갈등으로 스승 송시열과 결별하고 탕평책을 지지했으나 당쟁 속에서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실천적 삶을 강조한 무실학을 추구하며 조선 후기 정치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병자호란 관련자 - 김만중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소설가인 김만중은 명문 양반 가문 출신으로, 암행어사, 공조 판서, 대사헌, 대제학 등 요직을 역임하며 숙종의 궁녀 장씨 총애를 비판하다 유배 생활을 했고, 어머니를 위해 지은 『구운몽』과 『사씨남정기』를 비롯한 저서를 통해 국어 문학 발전에 기여하며 주자학적 세계관과 불교적 사상을 융합한 문학적 성취를 이루었다.
김반 (1580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반
한자 이름金槃
출생일1580년
출생지조선 충청도 논산군
사망일1640년 (향년 61세)
사망지조선 충청도 공주목 회덕현
국적조선
본관광산(光山)
거주지조선 한성부
정당무소속
분야유교 성리학
사일(士逸)
허주(虛舟)·허주자(虛舟子)
서훈대광보국숭록대부(증 영의정)
가족 관계
부모김장생(부)
창녕 조씨 부인 조어화(생모)
순천 김씨 부인(계모)
연안 이씨 측실(서모)
덕수 장씨 측실(서모)
예안 이씨 측실(서모)
신평 이씨 측실(서모)
배우자초배 안동 김씨
계배 연산 서씨
측실 부여 김씨
측실 함양 여씨
형제김집(둘째 형)
자녀6남 3녀
(그들 가운데 적차남 김익희, 적3남 김익겸,
서4남 김익훈, 서6남 김익경)
친인척김만기(친적손)
김만중(친적손)
김진려(초배 빙부)
서주(계배 빙부)
김재용(첩장인)
여해천(첩장인)
관직 및 경력
임기 시작1628년 춘3월 중순
임기 종료1629년 춘2월 초순
직책조선의 형조좌랑
주요 경력형조참의
임금인조 이종

2. 생애

김장생의 셋째 아들로, 아버지와 둘째 형 김집이 스승으로 모셨던 구봉 송익필에게서 글과 학문을 배우고 예학을 전수받았다. 1605년(선조 38) 사마시에 합격하여 관직에 나갔다.[1]

광해군의 정치에 반대하여 사퇴했다가,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이후 빙고 별제(氷庫 別提)에 임명되었으나 두 달도 채 되지 않아 사퇴하였다. 이괄이괄의 난을 일으키자 아버지 김장생과 함께 충청도 공주로 가 인조를 호종하였다. 공주행재소에서 실시된 특별 정시 문과에 급제, 성균관 전적이 되었다. 이후 형조 좌랑, 사간원 정랑, 이조 정랑, 사간원 정언, 홍문관 수찬, 홍문관 교리, 홍문관 응교 등을 역임했다.[1]

1635년 병조참지, 사간원 대사간, 형조참의, 홍문관 부제학 등을 역임했다.[1]

1636년 병자호란남한산성으로 왕을 호종했고, 강화산성을 지키던 셋째 아들(익겸)이 자결하는 슬픔을 겪었다. 정축하성 이후 예조 참판, 사헌부 대사헌, 한성부 우윤, 이조 참판 등을 지냈다. 1639년 관직을 그만둘 때까지 공신들과 별다른 갈등 없이 순탄하게 관직을 역임했다. 사후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에 추증되었다.[1]

2. 1. 가문 배경과 초기 생애

사계 김장생의 셋째 아들로, 일찍이 아버지 김장생과 둘째 형 김집이 스승으로 모셨던 구봉 송익필에게서 글과 학문을 배웠고, 그로부터 예학을 전수받았다. 그 뒤 아버지(김장생)와 두 형(김은·김집)에게서 글을 배우다가 1605년(선조 38)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이후 관직에 나갔다.

2. 2. 관직 생활

1623년 인조반정 직후 인조를 충청도 공주로 호종한 공로로 특별 정시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이 되었다. 이후 형조 좌랑, 사간원 정랑, 이조 정랑, 사간원 정언, 홍문관 수찬, 홍문관 교리, 홍문관 응교 등을 역임했다. 1635년에는 병조참지, 사간원 대사간, 형조 참의, 홍문관 부제학 등을 역임했다.

2. 2. 1. 인조반정 이전

김장생의 셋째 아들로 일찍이 아버지 김장생과 둘째 형 김집에게 가르침을 받았던 구봉 송익필에게 글과 학문을 배우고, 그로부터 예학을 전수받았다. 그 뒤 아버지(김장생)와 두 형(김은·김집)에게서 글을 배우다가 1605년(선조 38)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이후 관직에 나갔다.

그 뒤 광해군의 정치에 반대하여 사퇴하였다가,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이후 빙고 별제(氷庫 別提)에 임명되었으나 두 달도 채 되지 않아 다시 관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이괄이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고 흥안군 이제를 옹립하려 이괄의 난을 일으켰는데, 이것이 확산되자 아버지 김장생과 함께 충청도 공주로 가서 인조를 호종하였다.

2. 2. 2. 인조반정 이후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이후 빙고 별제(氷庫 別提)에 임명되었으나 두 달도 채 되지 않아 사퇴하였다. 이후 이괄이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고 흥안군 이제를 옹립하려 이괄의 난을 일으키자, 아버지 김장생과 함께 충청도 공주로 가 인조를 호종하였다. 공주행재소에서 실시한 특별 정시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이 되었다. 이후 형조 좌랑, 사간원 정랑, 이조 정랑, 사간원 정언, 홍문관 수찬, 홍문관 교리, 홍문관 응교 등을 역임했다.[1]

1635년 병조참지, 사간원 대사간, 형조 참의, 홍문관 부제학 등을 역임했다.[1]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남한산성으로 왕을 호종하였고, 이 과정에서 강화산성을 지키던 셋째 아들(익겸)이 자결하는 슬픔을 겪었다. 정축하성 이후 예조 참판, 사헌부 대사헌, 한성부 우윤, 이조 참판 등의 요직을 지냈다. 성격이 원만하여 1639년에 스스로 관직을 그만둘 때까지 공신들과 별다른 갈등 없이 순탄하게 관직을 역임했다. 사후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에 추증되었다.[1]

2. 2. 3. 병자호란과 그 이후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남한산성으로 왕을 호종하였고, 이 과정에서 강화산성을 지키던 셋째 아들(익겸)이 자결하여 순국하는 슬픔을 겪었다.[1] 정축하성 이후 예조 참판, 사헌부 대사헌, 한성부 우윤, 이조 참판 등의 요직을 지냈다.[1] 성격은 원만하여 1639년에 스스로 관직을 그만둘 때까지 공신들과 별다른 갈등을 겪지 않고 순탄하게 관직을 역임했다.[1] 사후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에 추증되었다.[1]

3.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할아버지김계휘(金繼輝)
아버지김장생(金長生)1548년 7월 8일1631년 8월 3일
어머니
(생모)
창녕 조씨1583년[1]
어머니
(계모)
순천 김씨1613년[2]
첫째 형님김은(金檃)1567년1592년?임진왜란 당시 곽재우 휘하 의병으로 참전 중 실종[3]
첫째 형수부여 서씨1570년1591년[4]
둘째 형님김집(金集)1574년 음력 6월 6일1656년 음력 5월 13일
둘째 형수기계 유씨[5]
본인김반(金槃)1580년1540년
초배 정실
(사별)
구 안동 김씨1590년1611년첨추 김진려(金進礪)의 딸, 1599년 결혼, 1611년 상배.
장남김익렬(金益烈)1606년 음력 10월 3일1630년 음력 5월 18일[6]
손자김만준(金萬埈)1634년 음력 12월 22일1691년 음력 4월 6일[7][8][9]
차남김익희(金益熙)1610년 음력 3월 5일1656년 음력 4월 8일
손자김만균(金萬均)1631년 음력 3월 22일1700년 음력 2월 29일
손자김만증(金萬增)
손자김만배(金萬培)
계배 정실
(재혼)
연산 서씨1596년1637년증 참판 서주(徐澍)의 딸, 1612년 재혼, 1637년 상배.
삼남김익겸(金益兼)1614년 12월 21일1637년 2월 16일
손자김만기(金萬基)
손자김만중(金萬重)
측실부여 김씨김재용(金渽溶, 1576년 음력 5월 20일 ~ 1634년 음력 9월 6일)의 딸.[10]
사남김익훈(金益勳)1619년1689년
자부신 안동 김씨친정아버지는 김언
손자김만채(金萬埰)김익훈의 첫째아들이자 적출
손자김만선(金萬墡)김익훈의 셋째아들이자 적출
자부구 안동 김씨(첩실)친정아버지는 김형록
손자김만게(金萬垍)김익훈의 둘째아들이자 서얼
육남
(막내)
김익경(金益炅)1629년1675년생모 부여 김씨
손자김만재(金萬裁)
손자김만지(金萬謹)
손자김만근(金萬謹)
측실함양 여씨여해천(呂海天, 1575년 음력 3월 26일 ~ 1638년 음력 4월 10일)의 딸.[11]
오남김익후(金益煦)1624년1648년
손자김만길(金萬吉)1645년1673년


참조

[1] 문서 1583년 당시 아버지 김장생 선생이 자녀 9남 4녀 가운데 3남 3녀 함께 얻어 둔, 초배 창녕 조씨를 질병으로 인하여 상배.
[2] 문서 1584년 김장생과 결혼. 1613년 하세할때까지 아버지 김장생 선생과 사이에는 자녀를 6남 1녀 둠.
[3] 문서 1592년 임진왜란 당시 곽재우(郭再祐) 선생의 의병대의 의병대원으로 참전하였으나 격험 전투 지역에서 참전 중 실종.
[4] 문서 서진남(徐震男, 1521년 ~ 1588년, 진사 서관(徐寬, 1497년 ~ 1568년).)의 서녀. 1581년 결혼. 10년 후 1591년 당시 김은(金檃)과의 사이에서 소생(자녀)도 없이 질병으로 인하여 사망.
[5] 문서 유홍 부부의 여식.
[6] 문서 첫째 형님 김은(金檃)에게 출계.
[7] 문서 친가 생부: 김익희(金益熙, 김반의 차남)
[8] 문서 1646년 당시 김익희(金益熙)의 삼남(셋째 아들)인 김만준(金萬埈)을 김익렬(金益烈)에게 양자(양아들)로 출계(입양)하였으니, 1616년 당시 첫째 형님 김은(金檃)에게 양자(김은 양아들 김익렬)로 출계(입양)한, 장남 김익렬(金益烈, 김은 양아들 김익렬.)에게 양자(김익렬 양아들 김만준)로 훗날 1646년 당시 출계.
[9] 문서 김반(金槃)의 친손자이자 김은(金檃)의 양손자인 김만준(金萬埈)은, 김반(金槃)의 차남(둘째 아들)인 김익희(金益熙)의 삼남(셋째 아들)이기도 한 친손 김만준(金萬埈, 생부 김익희(金益熙)의 셋째 아들(삼남)로 출생하여 백부 김익렬(金益烈)의 양자(김익렬 양아들 김만준)로 출계.)을 자식이 없었었던 첫째 형님 김은(金檃, 가계법적으로 김만준(金萬埈)의 양할아버지.)에게 양자(김은 양아들 김익렬)로 출계(입양)한, 원래의 친가 촌수로 장남 김익렬(金益烈)에게 출계(김은 양손자 김만준).
[10] 문서 1519년(중종 13)의 진사 출신의 김열(金烈, 김렬, 1491년 ~ ?)의 서얼|친서손자 김재용(金渽溶, 1576년 ~ 1634).
[11] 문서 1555년(명종 10)의 진사 출신의 여세윤(呂世潤, 1520년 ~ ?)의 서얼|친서손자 여해천(呂海天, 1575년 ~ 163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